7월과 8월 두 달 동안 함께한 한경우 작가는 ‘가변적인 불안함’, ‘절대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불완전한 상태’라는 주제를 특정한 매체에 국한되지 않고 설치, 영상, 사진이라는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는 작가입니다. 우리는 작가님과 개념미술에 대해 이해하고 일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며 만든 이미지를 통해 만든 드림그림의 결과물을 KIAF에서 선보이려 합니다.
7월 아티스트 멘토링에서 일상에서 의문을 가졌던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에 대해 답변하고 질문을 바꾸어 보며 작품에 대한 구상 과정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는 왜 졸릴까?’ ‘왜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쓸까?’와 같은 질문들에 대해 조별로 토론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이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에 대해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이를 체험해 보기 위해 평소에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시점을 담은 사진 찍기를 해 보았는데요. 학생들 모두 열심히 새로운 시점을 찾기 위해 돌아 다니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서로의 사진이 무엇인지 유추해보는 시간을 통해 시선의 전환을 경험하고 아이들에게 평소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을 뒤집어 일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8월 아티스트 멘토링에서는 1차 수업에서 경험했던 새로운 시선으로 일상적 소재를 바라보는 방법을 이용해 심상적 이미지와 관련된 이론을 알아보고, 그중 대칭 이미지를 모티브로 주변의 사물을 관찰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상의 재료를 직접 선택하여 사물의 형태를 만들어 보고 포토부스 프로그램을 통해 대칭적 이미지를 구현시켜 보았습니다.
작품 구상부터 이미지 제작, KIAF 전시까지 모든 제작 과정에 참여하고 관객들에게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 학생들에게 좋은 예술적 영감과 자극이 되었습니다.
<연결짓기의 예술-뉴 미디어 아트> 에서는 양민하 작가와 함께 뉴미디어 아트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신의 자화상이미지를 코딩으로 재탄생시켜보았습니다.
박경률 작가와 함께한 아티스트 멘토링<캔버스와 사물>에서는 본질적인 감각을 살려 형태를 정하지 않고 물감을 부어 페인팅하는 방법을 배우고 설치 오브제와 함께 자유로이 전시하는 과정이 담겨있습니다.
7월 24일 드림그림은 ‘내 꿈을 행해: 목적지: 꿈’ 의 주제로 프라모델 틀을 제작하는 아티스트 멘토링을 진행하였습니다. 작가님이 드림그림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프라모델 틀에 멘티들이 꿈에대해 상상하고 생각하며 제작한 오브제를 담았습니다.
드림그림은 주로 사진위에 수를 놓는 작업을 하는 김진희 작가와 함께 현대미술 속 사진 장르에 대해 알아보고, 회화적 사진을 경험하기 위한 위빙틀과 자수기법을 이용한 사진 실기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드림그림은 안경수 작가와 함께 길 위의 풍경을 회화로 그려내고, 영상으로 기록하는 아티스트 멘토링을 진행하였습니다.
드림그림은 김홍식 작가와 함께 올해의 첫 아티스트 멘토링을 온라인 원격 수업으로 진행하며 발송된 키트를 통해 실습해보는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드림그림은 캘리스마인드 작가와 함께 올해의 마지막 아티스트 멘토링을 온라인 원격 수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드림그림은 지난 11월, 애니메이터 보은 작가와 함께 <인간관계의 역사>를 주제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사)한국메세나협회와 한성자동차가 2012년 MOU를 체결하여 체계적이고 특화된 사회공헌 활동인 '드림그림'이 시작되었습니다. 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학생들에게 매달 아티스트와의 수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대중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경험을 주는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나아가 사회적 가치와 함께 유의미한 수익을 창출하고, 이것을 또다시 사회에 환원하는 선순환적인 구조를 지향할 것입니다.